1. HTML4 문서형 / 문자코드 설정
<!DOCTYPE HTML PUBLIC "-//W3C//DTD HTML 4.01 Transitional//EN" "http://www.w3.org/TR/html4/loose.dtd">
<html lang="ko">
<head>
<meta http-equiv="Content-Type" content="Text/html; charset=UTF-8" />
<title>html4 문서형</title>
</head>
2. HTML5 문서형 / 문자코드 설정
<!DOCTYPE html>
<html lang="ko">
<head>
<meta charset="UTF-8">
<title>html5 문서형</title>
</head>
3. XHTML1.0 문서형 / 문자 코드 설정
<meta http-equiv="Content-Type" content="application/xhtml+xml; charset=UTF-8" />
으로 설정하나,
익스플로러 쪽에서 application/xhtml+xml 부분에 문제가 된다. 그래서,
<!DOCTYPE html PUBLIC "-//W3C//DTD XHTML 1.0 Transitional//EN" "http://www.w3.org/TR/xhtml1/DTD/xhtml1-transitional.dtd">
<html xmlns="http://www.w3.org/1999/xhtml" xml:lang="ko" lang="ko">
<head>
<meta http-equiv="Content-Type" content="Text/html; charset=UTF-8" />
<title>xhtml1.0 문서형</title>
</head>
을 쓰도록하고, XHTML 경우는 반드시 마지막에 /> 을 꼭 넣어줘야한다.
4. 문서형 설정에서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조한다.
https://www.w3schools.com/tags/tag_doctype.asp
Transitional 가 많이 쓰인다.
(1) 용어 설명 :
- Strict
엄격하게 규칙을 지켜야한다. 지키지 않으면 렌더링이 안될 수 있다.
- Transitional
규칙이 엄격하지 않으며, 지키지 않아도 렌더링은 될 수 있다.
- Frameset
하나의 도큐먼트에 여러 창들을 띄울때 쓰인다.
'Programming > 퍼블리셔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모바일 웹, PC 반응형에 쓰이는 기본 meta 태그 (0) | 2018.07.24 |
---|---|
일정 시간 후 다른 페이지로 이동하는 meta 태그 (0) | 2018.07.24 |
검색 관련 meta 태그(robots, 트위터, 카카오톡 등) (0) | 2018.07.24 |
[Sublime Text] 설치 및 emmet(Zen-coding) 설치 (0) | 2018.07.24 |